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0

윈도우에서 단축키를 사용해 이모지(이모티콘) 사용하는 방법

윈도우에서 단축키를 사용해 이모지(이모티콘)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모지는 다양한 곳에서 쓰이고 있는데요. 전 세계 온라인 활용 인구 90% 이상이 이모지를 활용한다고 합니다. 이모지를 사용하는 방법은 Window + "."을 사용하거나 Window + ";"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모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쁨의 눈물 이모지입니다. 😂

간단한 팁 2021.12.16

엑셀에서 CONCAT 함수를 사용해 문자 연결하는 방법

엑셀에서 CONCAT 함수를 사용해 셀 또는 문자열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CONCAT 함수는 엑셀 2019 버전 이상, 오피스 365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해 CONCATENATE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CAT 함수의 사용 방법은 =CONCAT(문자열1, 문자열2, [참조범위])입니다. CONCAT 함수는 연속된 셀을 쉼표로 구분하지 않고도 범위를 드래그해 선택이 가능합니다. 위의 시/도, 시/군/구, 읍/면/동이 나뉜 셀에서 =CONCAT(B8:D8)을 입력하면 값이 연결됩니다. CONCAT 함수와 CONCATENATE 함수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CONCATENATE 함수는 CONCAT 함수와는 달리 연결할 셀을 구분하여 모두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CONCATENAT..

엑셀 2021.12.16

엑셀에서 TEXTJOIN 함수로 문자열 연결하는 방법

엑셀에서 TEXTJOIN 함수로 문자열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TEXTJOIN 함수는 CONCAT 함수와 마찬가지로 엑셀 2019 버전 이상, 오피스 365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CONCATENATE 함수나 CONCAT 함수와는 다르게 문자열 사이에 문자를 추가할 수 있고 빈 셀은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TEXTJOIN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TEXTJOIN(문자열 사이 넣을 값, 빈 셀 무시[True, False], 문자열)입니다. True를 사용할 경우 빈 셀을 생략하고 문자열이 연결되고, False를 사용하면 빈 셀도 포함해 문자열을 연결합니다. True 대신 1, False 대신 0으로 대체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이미지에서는 (" ")을 사용해서 문자열 사이에 띄어쓰기를 적용했습니다. E7 셀의..

엑셀 2021.12.15

엑셀에서 PDF 파일로 바로 저장하는 방법

엑셀에서 PDF 파일로 바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계약서와 같이 중요한 문서라면 PDF로 변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엑셀에서 파일을 클릭하신 후에 '내보내기' 탭을 선택해주세요. '내보내기'에서 'PDF/XPS 문서 만들기'를 선택하신 후에 'PDF/XPS 문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버튼을 클릭하고 파일 위치와 파일 이름을 목적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엑셀에서 PDF 파일로 변환되어 출력됩니다.

엑셀 2021.12.15

엑셀에서 최근 문서 목록 지우는 방법

엑셀에서 최근 문서 목록 지우는 방법입니다. 최근에 사용했지만 지금은 필요없는 항목을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방법입니다. 필요하지 않은 파일에 마우스를 가져간 후에 우클릭을 해주세요. '목록에서 제거'를 클릭하면 필요하지 않은 파일이 목록에서 사라집니다. 두 번째 방법입니다. 최근에 사용한 문서가 하나라도 표시되는 것이 싫다면 옵션에서 최근에 사용한 문서를 표시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Alt + T + O를 사용해 엑셀 옵션에 들어가준 후 엑셀 옵션에서 '고급'탭을 선택해주세요. '표시'에서 표시할 최근 통합 문서 수를 0으로 바꿔주면 최근에 사용한 문서가 목록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엑셀 2021.12.14

윈도우 부팅시 자동 시작되는 프로그램 끄는 방법

윈도우 부팅시 자동으로 시작되는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자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라면 편리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불편하기도 하고 메모리도 차지하기 때문에 메모리 낭비가 될 수도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 검색에서 '설정'을 입력해준 후에 설정 화면에서 앱을 선택해주세요. 앱을 선택한 후 '시작 프로그램'으로 들어가 줍니다. 시작 프로그램에서 실행되지 않았으면 하는 프로그램의 스위치를 선택해 끔으로 바꿔줍니다. 반대로 실행시키고 싶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스위치를 선택해 켬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간단한 팁 2021.12.14

엑셀에서 시작 화면 설정 ,생략하는 방법

최근 버전의 엑셀을 실행하면 기본 설정으로 시작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대부분의 경우 시작 메뉴에서 설정할 게 없습니다. 엑셀에서 시작 화면을 생략해 바로 워크시트가 나오도록 설정하겠습니다. 엑셀 시작 화면에서 옵션을 선택해줍니다. 엑셀 옵션으로 들어간 후 '일반'이 선택된 상태에서 스크롤을 하단으로 내리면 '시작 옵션' 탭이 있습니다. 시작 옵션에서 기본으로 체크 되어있는 '이 응용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시작화면 표시'의 체크를 해제한 후 엑셀을 재시작하면 시작 메뉴 화면이 생략되게 됩니다. 시작 화면이 생략되고 워크 시트가 바로 나타납니다.

엑셀 2021.12.12

한글에서 단축키로 문단의 맨 앞 뒤로 이동하는 방법

한글에서 단축키로 문단의 맨 앞 뒤로 이동하는 방법과 현재 줄에서 맨 앞 뒤로 이동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있는 문단에서 Alt + Home 단축키를 사용하면 왼쪽 이미지처럼 문단의 맨 앞으로 이동하고 Alt + End 단축키를 사용하면 오른쪽 이미지와 같이 문단의 맨 뒤로 이동합니다. 현재 줄에서 줄의 맨 앞, 뒤로 이동하고 싶은 경우는 Alt를 사용하지 않고 Home, End만 사용하면 됩니다. Home을 누를 경우 왼쪽 이미지처럼 현재 줄의 맨 앞으로 이동하며, End를 누를 경우 오른쪽 이미지처럼 현재 줄의 맨 뒤로 이동하게 됩니다.

한글 2021.12.11

단축키로 브라우저에서 닫은 탭 다시 여는 방법

크롬이나 엣지 등 브라우저에서 닫은 탭을 단축키를 사용해 다시 여는 방법입니다. 간혹 탭을 많이 띄워놓고 사용하다 실수로 필요한 탭을 닫아버리거나 필요하지 않아서 닫은 탭을 다시 열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한 단축키를 알아보겠습니다. 블로그, 네이버 구글, 스프레드 시트, 유튜브 총 5개의 탭이 실행되고 있습니다. 네이버가 실행되던 탭을 닫았는데 네이버를 다시 열어야 하는 경우에는 단축키 Ctrl + Shift + T를 사용하면 닫힌 탭이 다시 열리게 됩니다. 닫힌 창이 여러 개일 경우 가장 최근에 닫은 탭부터 열립니다.

간단한 팁 2021.12.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