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0

한글에서 글자 간격 조절하는 방법

한글에서 글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한글에서는 자간이라고 부릅니다. 글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싶은 곳을 블록 설정해줍니다. 블록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Alt + L을 눌러서 글자 모양에 들어가서 설정해 주세요. 자간은 -50%부터 50%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단축키로 자간 설정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Alt + Shift + N으로 자간을 줄일 수 있고 Alt + Shift + W로 자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단축키를 사용하면 1%씩 자간이 조절됩니다.

한글 2020.04.21

한글에서 모양 복사로 글자 서식 복사하는 방법

한글에서 제공하는 모양 복사 기능을 통해 글자의 서식을 복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모양 복사 기능을 통해 글자의 서식을 복사하게 되면 문서의 일관성 유지에 도움이 되고, 일일이 글자에 서식을 넣어주지 않아도되므로 능률이 향상되어 빠르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모양 복사를 사용해 어떤 서식을 복사할 수 있나요?모양 복사를 통해 글자 색, 글꼴(폰트), 글자의 배경색(음영, 바탕색) 등을 포함한 글자에 들어가 있는 다양한 서식들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모양 복사로 서식을 복사하는 방법 단축키를 이용해 글자의 서식을 복사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글자의 서식을 복사하는 단축키는 Alt + C입니다. 복사한 서식을 적용할 때에도 Alt + C를 이용합니다. 아래에서 자세하게 글자의 서식을 복사하고 ..

한글 2020.04.17

한글에서 현재 시간 및 날짜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

한글에서 현재 시간 및 날짜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에서는 날짜 입력을 단축키를 이용해 간편하게 넣어줄 수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 한글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 입력한 날짜의 형식을 변경하는 방법 등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한글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한글에서는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이 2가지가 존재합니다. 첫 번째 방식은 코드로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 방법은 문자열로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한글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단축키한슬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단축키는 2개가 있습니다. 코드로 날짜를 입력하는 단축키는 Ctrl + K + C, 문자열로 날짜를 넣는 단축키는 Ctrl + K + D입니다.  두 방식의 차이점두 방식의 차이점은 날짜가 입력된 후 변경이 되는지입니다...

한글 2020.04.16

한글에서 한자를 한글로 변경하는 방법

한글에서 한자를 한글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모르는 한자가 나왔을 때 사용하면 유용하게 쓰일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에 한자는 '변경'을 한자로 썼습니다. 한글로 변경을 하기 위해 한자를 드래그로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한자가 쓰여진 문장을 드래그해도 상관없습니다. 드래그를 한 후에 Alt + F9를 사용해 설정 창을 띄운 후에 '한자를 한글로'를 체크하고 바꾸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한자에서 한글로 변경이 된 모습입니다.

한글 2020.03.13

한글에서 천 단위 컴마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

한글에서 표에 천 단위 컴마(자릿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표에서는 1,000단위 구분 쉼표라는 기능을 통해  자릿점을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만약 숫자에 자릿점을 입력되지 않은 경우 숫자의 단위가 커질수록 확인하기가 불편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 한글 표에서 간단하게 자릿점을 넣는 방법과 키보드만 사용해서 자릿점을 넣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한글 2010에서 자릿점을 넣는 방법숫자에 자릿점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 단위를 한 번에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숫자에 자릿점이 입력되어 있지 않다면 1,000단위 구분 쉼표 기능을 통해 표에서는 천 단위의 컴마를 쉽게 찍을 수가 있습니다. 자릿점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자릿점을 넣을 영역을 선택해 줘야 합니다. 키보드로만 선택하고 싶..

한글 2020.03.10

한글에서 빨간 밑줄 없애는 방법

한글에서 빨간 밑줄 없애는 방법입니다. 한글을 쓰면서 틀린 곳에 빨간 밑줄이 생기면 편할 때도 있지만 외래어나 신조어를 사용할 때에 빨간 밑줄이 생겨 보기에 거슬릴 때도 많습니다. '드론'을 입력했더니 빨간 밑줄이 생겨서 보기가 좋지 않습니다. 빨간 밑줄을 없애려면 도구에서 환경 설정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환경 설정에서 기타에 들어가면 '맞춤법 도우미 작동'이 있는데 맞춤법 도우미의 체크를 해제하면 빨간 밑줄이 사라지게 됩니다. 빨간 밑줄이 사라진 모습입니다.

한글 2020.02.11

한글에서 글자 수를 세는 방법

한글에서 글자 수를 세는 방법입니다. 요즘은 네이버나 다음같은 포털에서도 쉽게 글자 수를 확인이 가능하지만 한글에서도 손 쉽게 글자수를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파일 탭에서 문서 정보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문서 정보의 단축키는 Ctrl+Q,I입니다. 문서 정보에서 문서 통계로 이동하면 한글에 쓰여진 글자 수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글자 수에는 띄어쓰기가 포함되어 세어집니다. 띄어쓰기를 제외한 글자 수가 필요하면 다음이나 네이버같은 포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2020.02.07

한글 사진이 안 보일 때 해결하는 방법

한글을 사용하면서 사진이 보이지 않을 때에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한글을 사용을 하다가 보면 특정 파일에서 가끔 사진이 안 뜰 때가 있습니다. 사진이 안 보일 때에는 보기 탭을 눌러주신 다음에 표시/숨기기에 들어가면 그림에 체크가 해제되어 있습니다. 다시 그림을 체크해주면 사진이 보이게 됩니다. 체크한 후에는 사진이 정상적으로 보이는 모습입니다.

한글 2020.02.05

한글에서 블록 계산식 사용하는 법

한글에서 블록 계산식의 사용 방법입니다. 엑셀에서는 함수를 사용하면 계산이 가능한데요. 한글에서도 블록 계산식을 사용하면 표에서 손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블록 계산식으로 덧셈, 곱셈, 합계를 계산할 수 있고 엑셀처럼 표의 내용이 바뀌면 자동으로 계산되어 값도 변경됩니다. 블록 계산식을 적용할 부분을 드래그 한 후에 우클릭을 하면 블록 계산식을 넣을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단축키를 사용해서도 블록 계산식을 넣을 수가 있습니다. 블록 계산식의 합계는 Ctrl+Shift+S, 블록계산식의 곱셈이 Ctrl+Shift+P, 블록 계산식의 평균은 Ctrl+Shift+A입니다. 블록 계산식을 넣은 후에 내용을 클릭을 해보면 은 색의 꺽쇠가 생기게 됩니다.

한글 2020.01.31

티스토리 글 5개로 애드센스 추가 승인 된 조건 및 후기

티스토리 글 5개로 3주만에 애드센스 추가 승인 된 조건과 후기입니다. 1월 27일에 티스토리 애드센스가 추가로 승인이 되었습니다. 기존에 승인 받은 블로그가 있긴 했지만 최근에 사이트 추가가 좀 어려워졌다는 글이 많길래 걱정을 많이했는데 운이 좋게도 글 5개만 발행하고 한 번에 승인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애드센스 승인 조건을 검색해 보면 보통 글자 수 1,000자, 1일 1포스팅, 사진 적게 올리기, 문장으로 끝내기, 한가지 주제로 글 쓰기, 빈 카테고리 없게 하기가 검색이 됩니다. 제 블로그의 승인 조건입니다.(사이트 추가라 참고로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글자 수의 경우 1,000자를 넘는 게시글은 3개였고 최소 글자수는 800자 정도로 맞췄습니다. 1일 1포스팅은 지키지 못 하였고 1월 6일..

블로그 2020.01.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