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0

구글, AI 공동 연구자(과학자) 개발

AI 공동 연구자란?구글의 연구진인 Juraj Gottweis와 Vivek Natarajan은 과학자들이 새로운 가설을 세우고 연구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다중 에이전트 AI인 'AI 공동 연구자'를 개발했습니다. AI 공동 연구자는 과학 및 생물 의학 분야의 발견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Gemini 2.0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연구 목표에 맞춘 가설을 생성하고 실험 계획을 지원하며, 연구자의 역량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과학 연구의 어려움과 AI의 역할과학 연구는 창의성, 통찰력,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탐구해야 하지만, 과학 논문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을 통합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다양한 분..

AI 2025.02.20

다이소 5000원 저가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후기 (제품 번호: 1044522)

다이소에서 블루투스 무선이어폰이 5,000원에 출시되었습니다. 제품 번호는 1044522입니다. 이어폰을 터치해 음악 재생 및 볼륨 조절, 전화 수신 및 거부가 가능합니다. 배터리 용량은 이어폰 30mAh, 이어폰 케이스는 300mAh이고 둘 다 리튬폴리머 배터리입니다. 배터리 완충시 음악 재생은 2~3시간, 통화는 4시간 가량 가능하다고 합니다. 무게는 30g으로 가벼운 편입니다. 사용 가능한 터치 종류(음악 재생)한 번 터치했을 때: 음악 재생 / 음악 일시정지왼쪽 이어폰 두 번 터치했을 때: 이전 음악 재생오른쪽 이어폰 두 번 터치했을 때: 다음 음악 재생왼쪽 길게(1초) 터치: 음량 1단계 내리기오른쪽 길게(1초) 터치: 음량 1단계 올리기 (전화)한 번 터치했을 때: 통화 연결 / 통화 종료2초..

전자제품 2024.11.23

파워포인트 웹 버전으로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

파워포인트를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웹 버전으로 파워포인트를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오피스 365는 매월 구독료를 내야 사용할 수 있지만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파워포인트 웹 버전은 별도의 비용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PT를 자주 만들지 않거나 확인만 하는 경우에는 오피스를 구독할 필요 없이 파워포인트 웹 버전을 이용해 파워포인트를 무료로 쓸 수 있습니다. 파워포인트 웹 버전을 사용하는 방법파워포인트 웹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 회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있다면 로그인 버튼을 클릭한 후 로그인하면 되고, 아직 마이크로소프트에 회원 가입이 되어있지 않다면 무료 등록 버튼 버튼을 누른 뒤 회원 가..

파워포인트 2024.11.08

한글에서 대문자, 소문자 일괄로 바꾸는 방법

한글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일괄로 변경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바꿔야 할 영어가 많을 때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번거롭게 바꿀 필요없이 한 번에 대, 소문자를 바꿔줄 수 있습니다. 영단어가 20개 적혀있는 표가 있습니다. 여기서 모든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바꿔보겠습니다. F5 키를 두 번 눌러 표의 모든 셀을 선택해 줍니다. 편집 탭에서 글자 바꾸기를 클릭해 줍니다. 글자 바꾸기를 클릭하면 바꿀 수 있는 글자 기능들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여기서 사용할 기능은 대문자/소문자 바꾸기(L)입니다. 위 기능을 클릭해 줍니다. 대문자/소문자 바꾸기를 클릭하면 대문자/소문자 바꾸기의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대문자, 소문자를 바꾸는 방법에는 모두 대문자로, 모두 소문자로, 대/소문자 서로 바꿈, 단어 첫 ..

한글 2024.11.07

컴퓨터 CPU 정보 확인하는 방법

내 컴퓨터의 CPU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PU 업그레이드를 포함해 다양한 이유로 CPU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CMD(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해 CPU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빠르게 확인해 보겠습니다. CPU 확인하는 방법Window 키와 R키를 동시에 누르면 실행 창이 열립니다. 실행 창에서 cmd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명령 cmd(명령 프롬프트)가 열립니다. wmic cpu get name, manufacturer, architecture, numberofcores /format:list위의 명령어를 복사한 후 cmd에 붙여 넣으면 CPU의 이름(name), 제조사(manufacturer), CPU 아키텍처(architecture), CPU 코어 수(numb..

간단한 팁 2024.09.27

한글에서 글자색 단축키로 바꾸는 방법 총정리

한글에서 글자 색을 단축키로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에서는 글자 색을 변경하는 단축키를 제공하는데요. 단축키로 변경할 수 있는 색상은 총 8가지 색상으로 검정색(K), 파랑색(B), 빨강색(R), 초록색(G), 청록색(C), 자주색(D), 노란색(Y), 흰색(W)입니다. 단축키를 사용하려면 Ctrl + M,(괄호안의 색상 코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색상 코드는 영어의 첫 글자인데 검정색은 파란색과 앞 글자가 겹치기 때문에 K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파란색으로 글자색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색상을 바꿀 영역을 드래그해 블록으로 지정해준 후에, Ctrl + M,B 단축키를 사용해주면 글자색이 파란색으로 변경됩니다. 글자 색을 빨간색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단축키 Ctrl + M,R을 사용하면 되고..

한글 2024.09.09

크롬에서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 그룹화하는 방법

크롬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들을 그룹화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업무를 하거나 특정 목적으로 브라우저에 탭을 많이 띄워 놓고 작업을 해야 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확인할 페이지의 주소가 바뀌지 않고 동일하다면 북마크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페이지 주소가 달라진다면 소용이 없기 때문에 이런 경우 크롬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그룹에 탭 추가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룹에 탭 추가 기능을 이용하면 컴퓨터를 재부팅하더라도 이전에 사용하던 탭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블로그를 운영할 때 자주 사용하는 URL인 블로그 주소, 서치콘솔 주소, 애드센스 주소를 그룹화 해보겠습니다. 그룹화할 탭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놓고 우클릭을 해준 후 새 그룹에 탭 추가를 선택해 주세요. 새 그룹에 탭 ..

브라우저 2024.09.05

한글에서 특정 쪽, 특정 페이지 지우는 방법

한글에서 특정 쪽, 특정 페이지를 지우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백 스페이스 키를 사용하거나 영역으로 지정한 후 페이지를 지울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커서가 위치한 페이지가 삭제되므로 더 간편하게 페이지를 지울 수 있습니다. 또한 단축키를 사용해 현재 페이지를 삭제하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특정 페이지를 지우기 위해서 지우려는 페이지에 커서를 놓아주세요. 지울 페이지에 커서를 위치 시켰다면 쪽 지우기 기능을 이용하면 현재 페이지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쪽 지우기는 쪽 탭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하단에 쪽 지우기를 선택하면 커서가 현재 놓여진 페이지가 삭제됩니다. 리본 메뉴에서도 쪽 지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응용해서 단축키로 커서가 위치한 페이지..

한글 2024.08.30

한글에서 강조점을 입력하는 방법

한글에서 강조점을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강조점을 사용했을 때의 장점은 이름 그대로 문장이나 단어에서 중요한 부분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글을 읽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영어로는 diacritical mark라고 불립니다. 이번 글에서 간단하게 강조점을 넣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한글에서 강조점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글자 모양 대화 상자에 들어가 줘야 합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강조점을 넣어 줄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해 준 후에 단축키 Alt + L을 동시에 눌러주면 글자 모양 대화 상자를 열 수 있습니다. 글자 모양 대화 상자가 열렸으면 확장 탭을 눌러 이동해 주세요. 확장 탭 하단의 기타 영역을 확인하면 강조점 항목이 있습니다. 원하는 형식의 강조점을 선택해 주고 설정..

한글 2024.08.30

❌ 구글에서 색인됐지만 검색되지 않는 글 찾는 방법

구글에 색인은 되어 있지만, 노출되지 않는 글들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구글에서 페이지를 색인하면 해당 글이 구글 검색에서 결과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색인이 되었어도 구글에서 키워드로 검색하면 검색 결과에서 보이지 않는 글들을 확인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몇 달 전에 배포했던 프로젝트의 구글 서치콘솔에서 노출 현황입니다. 페이지는 계속 추가되는데 반대로 최근에 구글에서 노출은 크게 줄어들었고 1주일 전부터는 노출수가 0이 되었습니다. 페이지의 색인이 풀렸나 해서 확인해 보면 색인은 이상이 없고 정상적으로 색인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구글에서 site: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거나 제목을 그대로 입력하면 검색 결과에 작성한 글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하지만, 해당 페이지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간단한 팁 2024.08.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