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에서 표에 천 단위 컴마(자릿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표에서는 1,000단위 구분 쉼표라는 기능을 통해 자릿점을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만약 숫자에 자릿점을 입력되지 않은 경우 숫자의 단위가 커질수록 확인하기가 불편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 한글 표에서 간단하게 자릿점을 넣는 방법과 키보드만 사용해서 자릿점을 넣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한글 2010에서 자릿점을 넣는 방법
숫자에 자릿점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 단위를 한 번에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숫자에 자릿점이 입력되어 있지 않다면 1,000단위 구분 쉼표 기능을 통해 표에서는 천 단위의 컴마를 쉽게 찍을 수가 있습니다. 자릿점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자릿점을 넣을 영역을 선택해 줘야 합니다. 키보드로만 선택하고 싶다면 F5키를 이용해 자릿점을 넣을 영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릿점을 넣을 영역을 선택했다면 우클릭을 한 후에 1,000단위 구분 쉼표로 마우스를 이동하면 자릿점 넣기(U)와 자릿점 빼기(D)가 있습니다. 자릿점 넣기를 선택하면 숫자에 자릿점이 자동으로 입력되고 자릿점 빼기를 선택하면 반대로 숫자에 자릿점이 사라집니다. 자릿점을 넣는 경우 우클릭을 해준 뒤에 U를 두 번 눌러주면 자릿점을 빠르게 넣어줄 수 있습니다.
자릿점이 입력되어 숫자를 파악하기가 쉬워졌습니다. 자릿점을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키보드 단축키로만 입력하고 싶다면 Alt + Q + U + U를 눌러주면 자릿점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표가 아닐 경우에는 웹 사이트를 통해서도 숫자에 간단하게 컴마(자릿점)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숫자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1,000단위로 컴마가 입력됩니다. 추가적으로 숫자를 한글 단위로 변환도 가능합니다. 1909489284를 입력하면 19억 948만 9284로 변환됩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해당 사이트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숫자 한글 단위 변환기
숫자를 한글 단위로 변환하거나 컴마(자릿점)를 간단하게 넣을 수 있습니다.
atog.kr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에서 현재 시간 및 날짜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 (2) | 2020.04.16 |
---|---|
한글에서 한자를 한글로 변경하는 방법 (0) | 2020.03.13 |
한글에서 빨간 밑줄 없애는 방법 (0) | 2020.02.11 |
한글에서 글자 수를 세는 방법 (0) | 2020.02.07 |
한글 사진이 안 보일 때 해결하는 방법 (0) | 2020.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