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에서 현재 시간 및 날짜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
한글에서 현재 시간 및 날짜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에서는 날짜 입력을 단축키를 이용해 간편하게 넣어줄 수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 한글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 입력한 날짜의 형식을 변경하는 방법 등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한글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
한글에서는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이 2가지가 존재합니다. 첫 번째 방식은 코드로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 방법은 문자열로 날짜를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한글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단축키
한슬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단축키는 2개가 있습니다. 코드로 날짜를 입력하는 단축키는 Ctrl + K + C, 문자열로 날짜를 넣는 단축키는 Ctrl + K + D입니다.
두 방식의 차이점
두 방식의 차이점은 날짜가 입력된 후 변경이 되는지입니다. 코드로 넣은 날짜는 문서를 연 시간에 맞춰 날짜 및 시간이 변경되지만, 문자열로 입력한 날짜는 입력한 후 직접 수정하지 않는 이상 날짜가 바뀌지 않습니다.
한글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방법
한글에서 날짜를 자동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입력탭을 선택한 후 날짜/시간으로 마우스를 이동시켜 주면 날짜/시간 문자열과 날짜/시간 코드 두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날짜가 입력됩니다.
단축키를 이용해 날짜를 넣는 방법입니다. 문자열로 날짜를 넣는 방식은 단축키가 Ctrl + K + D이며 일반 문자열로 입력되므로 입력한 후에 수정하지 않는 이상 날짜가 변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코드로 넣는 방식은 문서를 연 시간에 따라 날짜 및 시간이 변경됩니다. 코드로 넣은 날짜는 이미지에 보이는 것처럼 꺽쇠가 표시됩니다.
문서를 닫았다 다시 열어주면 코드로 날짜를 넣은 곳만 시간이 변경됩니다.
입력된 날짜의 형식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날짜의 형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날짜 형식을 변경하려면 단축키 Ctrl + K + F를 사용하면 됩니다. 선택한 날짜 형식으로 날짜가 새로 입력됩니다.
한글 날짜 입력 단축키
Ctrl + K + D: 날짜를 문자열로 입력(날짜가 변경되지 않음)
Ctrl + K + C: 날짜카 코드로 입력됨(날짜가 문서를 연 시간으로 변경됨)
Ctrl + K + F: 날짜의 형식을 변경하고 변경된 형식의 날짜가 새로 입력됨
Ctrl + N + K: 코드로 넣은 날짜의 형식을 수정